시사경제
재벌 3·4세, '규제 리스크' 떨며 일반인 며느리 모시는 속사정
국내 대기업 오너 일가의 혼맥 지도가 급변하고 있다. 과거 권력 유지를 위한 정·관계 중심의 '정략결혼'에서 벗어나 재계 간 결합이나 일반인과의 결혼이 대세로 자리 잡았다.1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공시대상기업집단 81곳의 혼맥을 분석한 결과, 오너 세대가 내려갈수록 정·관계 혼맥 비중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너 2세의 정·관계 혼맥 비중은 24.1%였으나, 3세 14.1%를 거쳐 4~5세에서는 6.9%로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반면, 기업 간 혼맥 비중은 오너 2세 34.5%에서 3세 47.9%, 4~5세 46.5%로 증가하며 재계 간 결속이 강화되는 추세다. 재벌가가 아닌 일반인 집안과의 결혼 사례 역시 오너 4~5세에서 37.2%를 기록하며 실리 위주의 혼맥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2000년을 기점으로 혼맥 변화는 더욱 두드러진다. 2000년 이전 24.2%였던 정·관계 혼맥은 이후 7.4%로 대폭 줄어든 반면, 재계 간 혼맥(48.0%)과 일반인과의 혼맥(31.4%)은 크게 늘었다.

최근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의 아들 정준 씨와 여자 골프 세계 랭킹 1위 리디아 고의 결혼이 있다. 또한, 한화그룹 3세인 김동관 부회장이 사내 연애를 통해 만난 일반인과 결혼한 사례나, 호반건설 김대헌 대표와 전 SBS 아나운서 김민형의 혼인 등 전문직과의 결혼도 증가세다.
CEO스코어는 이러한 변화에 대해 "과거에는 정·관계 혼맥이 사업에 보탬이 되었으나, 최근에는 오히려 더 큰 감시와 규제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는 혼맥이 권력형 결속에서 실리 및 사업적 안정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재편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그룹 간 혼맥 관계를 보면 LS그룹이 현대차, OCI, BGF 등 가장 많은 대기업과 사돈을 맺으며 혼맥 최강자로 나타났다. LG와 GS도 각각 4개 그룹과 연결되며 활발한 재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 난임 고생하다 폐경 후, '57세' 최고령 쌍둥이 출산?
- 男性 발보다 더러운 '거기', 세균지수 확인해보니..충격!
- 내장지방,원인은 비만균! '이것'하고 쏙쏙 빠져…
- 로또1등 "이렇게" 하면 꼭 당첨된다!...
- 오직 왕(王)들만 먹었다는 천하제일 명약 "침향" 싹쓰리 완판!! 왜 난리났나 봤더니..경악!
- 집에서 5분만 "이것"해라! 피부개선 효과가 바로 나타난다!!
- 현재 국내 주식시장 "이것"최고치 경신...당장 매수해라!!
- 환자와 몰래 뒷돈챙기던 간호사 알고보니.."충격"
- "관절, 연골" 통증 연골 99%재생, 병원 안가도돼... "충격"
- "농협 뿔났다" 로또1등 당첨자폭주.. 적중률87%
- 목, 어깨 뭉치고 결리는 '통증' 파헤쳐보니
- 부족한 머리숱,"두피문신"으로 채우세요! 글로웰의원 의)96837
- 월3천만원 수입 가져가는 '이 자격증' 지원자 몰려!
- 2021년 "당진" 집값 상승률 1위..왜일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