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경제

반짝이는 다이아몬드, 이제 '영원한 사랑'의 상징 아니다?

 "다이아몬드는 영원히"라는 광고 문구는 이제 과거의 유물이 될까? 랩그로운(합성) 다이아몬드가 급부상하며 천연 다이아몬드가 오랫동안 구축해 온 아성이 흔들리고 있다.

 

가격 경쟁력에서 압도적인 합성 다이아몬드는 이미 미국 다이아몬드 청혼반지 시장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천연 다이아몬드가 수억 년에 걸쳐 생성되는 것과 달리, 합성 다이아몬드는 실험실에서 단 몇 주 만에 만들어지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할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올해 말이면 같은 가격에 천연 다이아몬드보다 6배 큰 합성 다이아몬드를 구매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저렴한 가격이 합성 다이아몬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다이아몬드, 특히 청혼반지에 사용되는 다이아몬드는 단순한 보석이 아니라 '사랑의 크기'와 '능력'을 과시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결국 싼 가격이 '저렴한 이미지'로 이어져 다이아몬드 시장 자체의 매력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실제로 합성 다이아몬드의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보석상들은 높은 마진율을 유지하며 가격 방어에 나서고 있다. 3캐럿 합성 다이아몬드의 소매 마진율은 5년 전 30%에서 현재 90%까지 치솟았다.

 

일부 전문가들은 합성 다이아몬드가 대중화될수록 가격이 급락하여 액세서리 시장이나 할인점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제품으로 전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영원한 사랑'의 상징이라는 고급 이미지가 무너지면서 천연 다이아몬드 시장까지 침체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합성 다이아몬드의 등장은 다이아몬드 시장에 '가치'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소비자들은 과연 '진짜' 다이아몬드와 '만들어진' 다이아몬드 중 무엇을 선택할까? 

 

다이아몬드 업계는 변화의 바람 속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소비자들을 설득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