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의 심장부 할리우드가 인공지능(AI)의 거센 도전에 칼을 빼 들었다. 월트디즈니, 유니버설스튜디오, 워너브라더스 등 이름만 들어도 쟁쟁한 미국의 대표 콘텐츠 기업들이 중국의 신생 AI 스타트업 \'미니맥스(MiniMax)\'를 상대로 저작권 침해 소송이라는 선전포고를 날렸다. 현지시간 16일, 캘리포니아 중부지방법원에 제출된 소장에서 이들 거대 스튜디오는 미니맥스가 미국의 저작권법을 철저히 무시한 채, 자신들의 소중한 지적 자산인
미국과 중국 간의 팽팽한 긴장감 속에서 서비스 중단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목전에 뒀던 동영상 플랫폼 틱톡이 극적으로 기사회생의 발판을 마련했다. 매각 시한을 불과 이틀 앞두고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제4차 고위급 무역협상에서 양국이 틱톡의 미국 사업권 매각에 대한 기본적 틀(프레임워크)에 합의한 것이다. 이로써 미국 내 1억 7천만 명에 달하는 이용자, 특히 젊은 층 사이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틱톡은 당장의 서비스 중단
미국의 핵심 파트너로 여겨지던 인도가 돌연 러시아-벨라루스 연합의 대규모 군사훈련 \'자파드 2025\'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국제 사회에 큰 충격을 던지고 있다. 특히 이번 훈련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와의 전면전을 상정한 \'전쟁 게임\'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에서, 인도의 행보는 사실상 미국이 주도하는 서방 진영의 뒤통수를 친 격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의 관계 악화가 결국 인도를 \'적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