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한국 10대 '패드립' 배울 때…핀란드에선 중2가 초4에게 '이것' 가르친다

이러한 현실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선진국으로 불리는 핀란드의 교실을 들여다보자. 그곳에서는 한국에선 상상하기 힘든 풍경이 펼쳐진다. 핀란드의 한 종합학교, 우리나라의 중학교 1, 2학년에 해당하는 7, 8학년 학생들은 1교시부터 '온라인 괴롭힘은 왜 생기는가?'와 같은 근본적인 질문을 놓고 열띤 토론을 벌인다. 이들은 조별 토론을 통해 "처벌과 모니터링 부족", "익명성의 악용" 등 놀랍도록 분석적인 답을 스스로 찾아낸다.
핀란드 교육의 진짜 힘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이 수업의 핵심은 바로 '가르치기 위해 배우는 것'에 있다. 중학생들은 단순히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넘어, 이 내용을 어떻게 초등학교 4학년 후배들에게 가르칠지 구체적인 교수법까지 고민해야 하는 과제를 받는다. 이는 '지원 학생(Tukioppilas)'이라 불리는 핀란드 특유의 멘토링 교육 시스템이다. 50년 넘게 발전해 온 이 교수법은 선배가 멘토가 되어 후배를 직접 가르치는 방식이다. 선배는 가르치는 과정에서 내용을 완벽하게 자기 것으로 만들고, 후배들은 딱딱한 교사의 설명보다 눈높이에 맞는 선배의 말을 훨씬 효과적으로 받아들인다.

실제로 두 시간 뒤, 초등학교 4학년 교실에서는 훨씬 더 활기찬 수업이 진행된다. "어제 게임 한 사람, 제자리 뛰기!"와 같은 놀이로 시작해 아이들의 흥미를 끈 뒤, "안전하게 미디어를 쓰는 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이때 앞서 수업을 들었던 중학생 멘토들이 각 조에 투입되어 후배들의 토론을 돕는다. 단어 뜻을 설명해주고, 추가 질문으로 생각을 이끌어내는 선배들의 모습은 꽤나 인상적이다. 후배들은 선생님의 말보다 선배의 말을 더 경청하며 미디어 세상의 규칙을 자연스럽게 체득한다.
핀란드 교육자들은 10살(초4)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골든타임'으로 본다. 막 미디어 세상에 발을 들여놓은 시기라 교육 효과가 가장 크기 때문이다. "알고리즘의 영향력"과 같이 어려운 개념은 "사탕 꾸러미에서 좋아하는 맛 하나를 꺼냈더니 다른 사탕도 그 맛으로 변하는 것"처럼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비유로 설명한다. 이 조기 교육 덕분에 아이들은 '모르는 사람이 보낸 링크'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문제가 생겼을 때 혼자 끙끙 앓는 대신 어른에게 도움을 청해야 한다는 사실을 배운다.
이 모든 것이 가능한 배경에는 '교사에 대한 깊은 신뢰'가 자리 잡고 있다. 핀란드 교사들은 대부분 석사 학위 소지자로, 사회적 존중과 신뢰가 두텁다. 덕분에 교사들은 전쟁 관련 가짜뉴스 같은 민감한 정치적 이슈를 다루는 것을 금기시하지 않는다. 오히려 아이들이 접하는 틀린 정보를 바로잡아주는 것을 '교사의 당연한 의무'로 여긴다. 혐오와 가짜뉴스에 아이들이 물들지 않도록 국가와 학교, 가정이 함께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 그것이 바로 핀란드 미디어 교육의 핵심이다.
- 난임 고생하다 폐경 후, '57세' 최고령 쌍둥이 출산?
- 대만에서 개발한 "정력캔디" 지속시간 3일!! 충격!!
- 로또 용지 찢지 마세요. 사람들이 모르는 3가지!!
- 백만원 있다면 당장 "이종목" 사라! 최소 1000배 이상 증가...충격!!
- 新 "적금형" 서비스 출시! 멤버십만 가입해도 "최신가전" 선착순 100% 무료 경품지원!!
- 인삼10배, 마늘300배 '이것'먹자마자 "그곳" 땅땅해져..헉!
- 주식, 비트코인 다 팔아라 "이것" 하면 큰돈 번다!
- 한달만에 "37억" 터졌다?! 매수율 1위..."이종목" 당장사라!
- 환자와 몰래 뒷돈챙기던 간호사 알고보니.."충격"
- "한국로또 뚫렸다" 이번주 1등번호.."7,15…"
- 목, 어깨 뭉치고 결리는 '통증' 파헤쳐보니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부족한 머리숱,"두피문신"으로 채우세요! 글로웰의원 의)96837
- 120억 기부자 "150억 세금폭탄"에 울면서 한 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