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배터리 공장 'K-기술자' 실종 사건? 조지아주, '돌아와요 배터리 공장' 애타는 외침!

 미국 조지아주의 주요 경제계 인사들이 최근 미국 이민 당국에 의해 체포된 후 일주일간 구금되었다가 한국으로 귀국한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의 한국인 근로자들을 미국으로 다시 불러들이기 위한 방안을 내부적으로 심도 있게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사건은 조지아주가 심혈을 기울여 유치한 대규모 투자 프로젝트의 성공에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주 정부 및 경제 개발 기관들이 총력을 기울여 해결책을 모색하는 모습이다.

 

트립 톨리슨 조지아주 서배너 경제개발청장은 지난 17일(현지시간) '서배너 모닝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인 근로자들이 돌아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단언하며, 그 이유로 "현대차 공장에 일하는 사람들은 장비를 설치하고 임직원들에게 배터리 셀 기술을 가르칠 수 있는 유일한 사람들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단순히 인력 부족을 넘어, 첨단 배터리 생산 기술의 핵심 노하우 전수와 공장 가동의 필수적인 요소임을 강조하는 발언이다. 서배너 경제개발청은 조지아주정부와 긴밀히 협력하며 지역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민간 기구로, 이들의 발언은 주 정부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필립 라이너트 경제개발청 대변인 역시 "체포된 LG 직원들은 장비 설치와 지원, 직원 교육을 위해 미국을 임시로 방문한 사람들"이라며, "그들은 장비 설치와 전문적 지식을 갖춘 숙련된 기술자들"임을 재차 강조하며 이들의 전문성을 부각했다.

 

톨리슨 청장은 이번 사건으로 인해 한국인 근로자들이 겪었을 실망감에 대해 깊이 공감하며, "우리는 한국인들에게 의지하고 있다"고 솔직한 심정을 드러냈다. 그는 지난주 디트로이트에서 팻 윌슨 조지아주 경제개발부 장관과 함께 현대차 경영진과 만났던 사실을 공개하며, 당시 현대차 경영진이 이번 사태에 대해 "매우 놀라고 충격받았다"고 전했다. 톨리슨 청장은 자신과 윌슨 장관이 "프로젝트 완공을 위해 현대를 돕겠다고 밝혔으며, 한국인들을 귀환시키기 위한 많은 논의를 했다"고 덧붙여, 조지아주 차원에서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이번 사건은 조지아주를 넘어 미국 전체의 비자 제도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 필요성을 제기하는 계기가 되었다. 앞서 16일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는 리비안 전기자동차 공장 착공식에서 "미국의 비자 제도를 전면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그는 "이번 사건은 현대차만의 문제가 아니다. 전국의 많은 기업이 똑같은 문제를 겪어왔다"며, "현장에서 실제로 무슨 일이 있는지 많은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비자 제도의 경직성이 미국 산업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크리스 클락 조지아주 상공회의소장 또한 같은 입장을 피력하며 주지사의 주장에 힘을 실었다. 그는 "공장을 지으러 온 한국, 일본, 독일 근로자들을 위해, 미국 비자 제도의 전면적 개편이 필요하다"고 역설하며, 이러한 개편이 장기적으로 볼 때 "조지아 노동자들에게 이득"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해외 숙련 기술자들의 유입이 단기적인 대체 인력 확보를 넘어, 현지 인력의 교육과 기술 전수를 통해 장기적으로 지역 경제와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식을 보여준다.

 

조지아주는 최근 현대차, SK온, LG에너지솔루션 등 대규모 전기차 및 배터리 공장 유치를 통해 '전기차 허브'로의 도약을 꿈꾸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핵심 인력의 입국 및 체류 문제 발생은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완공과 향후 운영에 심각한 차질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조지아주 경제계는 이번 사건을 단순한 해프닝으로 치부하지 않고, 미국 비자 제도의 근본적인 개선을 통해 미래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이번 사태가 미국 이민 정책 전반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