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연예
이지리스닝 열풍에도... '전형적 K팝 공식'으로 세계를 정복한 데몬 헌터스의 역설

금융권 전문가들은 이번 흥행이 K팝 팬덤의 확장 모멘텀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IBK투자증권 김유혁 애널리스트는 "애니메이션과 OST의 전 세계 동시 흥행은 K팝 장르의 침투율 확대를 의미하며, 이는 팬덤 확대로 이어져 공연·MD 실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대신증권 임수진 애널리스트도 "다양한 국가에서 동시다발적 수요가 발생한 점은 글로벌 콘서트 투어의 잠재 수요 확대와 공연·MD 매출 비중이 높은 국내 상장 엔터사들의 실적 가시성을 높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최근 트렌드와 반대로 전통적인 K팝 공식을 그대로 따랐다는 것이다. 뉴진스의 등장 이후 이지리스닝이 대세가 되고 기획사들이 전형적인 K팝에서 탈피하려는 시도를 해왔지만, 이 애니메이션은 오히려 콘셉트가 확실한 세계관, 기승전결이 뚜렷한 음악, 군무, 랩 등 K팝의 전형적 요소를 그대로 활용해 성공을 거뒀다.

그러나 이번 성공은 넷플릭스의 막강한 자본력과 글로벌 유통망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분석도 있다. 일본 자본이 투입된 미국 제작사와 글로벌 OTT가 K컬처를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을 흥행시키면서 'K'의 정체성에 대한 재정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CJ ENM 김지연 콘텐츠전략 담당은 "글로벌 시청자들은 K컬처를 한국만의 것으로 인식하기보다 하나의 콘텐츠 장르로 자연스럽게 소비하는 추세"라며 "제작 인력, 콘텐츠 소재, 제작 장소, 자금 출처, 소비자를 국적으로만 나눌 수 없는 시대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의 전유물이었던 'K' 소재에 대한 글로벌 기업의 투자 증가로 이어질 전망이지만, 이는 '양날의 검'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미국 외교전문매체 더디플로맷은 "넷플릭스는 K콘텐츠의 세계화를 견인한 주역인 동시에 산업 구조를 흔드는 리스크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국내 콘텐츠 기업들은 여전히 구조적 한계에 직면해 있다. 한국수출입은행 김윤지 수석연구원은 "K콘텐츠 산업이 외형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수익성과 구조적 경쟁력 측면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며 "이제는 '어떻게 잘 만들까'에서 나아가 '어떻게 잘 팔까'를 고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 37억 자산가, 여름휴가 전 "이종목" 매수해라!! 한달
- 대만에서 개발한 "정력캔디" 지속시간 3일!! 충격!!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로또 용지 찢지 마세요. 사람들이 모르는 3가지!!
- 먹자마자 묵은변 콸콸! -7kg 똥뱃살 쫙빠져!
- 서울 천호역 “국내 1위 아파트” 들어선다..충격!
- 오직 왕(王)들만 먹었다는 천하제일 명약 "침향" 싹쓰리 완판!! 왜 난리났나 봤더니..경악!
- 월3000만원 벌고 싶으면 "이 자격증"만 따면 된다.
- 현재 국내 주식시장 "이것"최고치 경신...당장 매수해라!!
- "한국로또 뚫렸다" 이번주 1등번호.."7,15…"
- "부동산 대란" 서울 신축 아파트가 "3억?"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월3천만원 수입 가져가는 '이 자격증' 지원자 몰려!
- “서울 천호” 집값 국내에서 제일 비싸질것..이유는?